티스토리 뷰

정부가 공적 급여제도인 ‘실업급여’(구직급여)의 고용보험 가입기간(최저 기여기간) 연장과 하한액 인하, 반복수급자에 대 한 감액 등 제도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. 재정 부담을 줄이고 재취업을 적극 유도한다는 방침이다.

 

 

실업급여-제도-개선방향
실업급여 제도 개선방향

 


2017년 120만 명이던 실업급여 수급자는 코로나19 이후인 2020년 170만여 명, 2021년 177만여 명으로 급증했다고 고용노 동부는 12일 전했다. 지난해엔 163만여 명에 달했다.

 

 실업급여 수급액 및 수급기준

 

 

 

 

 

 

실업급여는 가입기간과 나이 등에 따라 수급액과 수급기준이 다르다. 현재 하루 기준 상한액이 6만 6000원, 하한액은 6만 1568원으로 30일 기준 각각 198만원과 184만 7040원이다. 50세 이상은 120~270일, 50세 미만은 120~240일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.

실업급여 수급 증가 추세 속에는 부정수급의 증가도 숨어 있다는 게 당국의 판단이다. 실제 지난해 하반기 고용부는 부정수급이 의심되는 사례 9300여 건을 확보, 실업급여 특별점검을 벌인 바 있다.

 

실업급여는 국내 정기적 구직활동을 전제로 받아야 하는데 해외에 체류하면서 실업급여를 받은 사례 1600여건, 군 의무 복

무기 간 동안 실업급여를 받은 4600여 건, 임금체불에 따른 간이대지급금 지급 기간에 실업급여를 수령한 3000여 건이 당시 점검 대상에 포함됐다.

또 다른 조사에서는 가족을 고용했다가 실업급여를 타게 하거나 사업주와 고용인이 짜고 일을 계속하면서 실업급여를 받

은 사례, 심지어 브로커를 통해 실업급여를 타낸 경우도 적발됐다.

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요건을 채우기 위해 7~8개월(근무일수 180일) 일한 뒤 최소 120일분의 실업급여를 반복적으로

신청하는 관행도 포착된다. 고용부는 5년 동안 세 차례 이상 실업급여를 받아 본 반복수급자 규모가 2018년 이후 매년 5% 안팎에 이른다고 집계했다.

 

 

 정부, 실업급여 하한액 인하 및 반복수급자 감액 나선 이유

 

 

 

 

 

 

이번에 정부가 하한액 인하, 반복수급자 감액에 나선 이유는 형사처벌 대상인 부정수급 외 반복수급 관행을 시정하는 데 있 다. 올해 월 최저임금이 201만 580원(주 40시간 기준)으로 여기에서 세금·교통비·식대 등을 빼면 7개월 일한 뒤 받는 실업급여 하한액보다 낮은 상황이 근로의욕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. 한국의 근무기간 인정은 선진국(12개월) 보다 짧은 편이다.

정부는 기여기간을 10개월로 늘리고 하한액을 최저임금의 80%에서 60%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. 이 경우 하한액 이 120만 6348원으로 낮아지는 등 반복수급을 줄일수 있다는 포석이다.

 

2023.01.29 - 정부, '실업급여' 지급수준 및 기간 개선안 마련

 

정부, '실업급여' 지급수준 및 기간 개선안 마련

정부가 실업급여(구직급여) 수급자의 도덕적 해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올해 상반기 중 실업급여 지급 수준 및 기간 등에 대 한 제도 개선안을 마련한다. 고용노동부는 29일 이 같은 내용의 '고용

njobbloger.tistory.com

2023.01.27 -  2023 실업급여 하한액 인상, 月185만 원 받는다

 

2023 실업급여 하한액 인상, 月185만원 받는다

수도권에서 주유소 4곳을 운영하는 김 모 씨(67)는 지난해 직원 16명 가운데 절반가량을 다시 뽑아야 했다. 직원을 새로 뽑으면 8개월에서 1년 정도 지난 뒤 “그만두겠다”라고 하는 일이 반복됐

njobbloger.tistory.com

2022.11.01 - 2022년 고용보험 실업급여 계산기 및 신청방법

 

2022년 고용보험 실업급여 계산기 및 신청방법

최근에 코로나 시태가 어느 정도 마무리되고 있지만 세계 경제는 우크라이나 사태를 비롯해서 점차 헤어 나올 수 없는 수렁으로 빠져들고 있는 듯합니다. 그래서인지 많은 분들이 희망퇴직 또

njobbloger.tistory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