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소득이 7천500만 원 이하인 청년(19세 이상 34세 이하)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면 이자·배당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.

 

청년도약계좌-이자-배당소득-비과세
청년도약계좌 '이자,배당소득 비과세'

 


28일 기획재정부에 따르면 정부는 이런 내용을 담은 조세특례제한법 시행령을 올해부터 시행한다.

 

 

 '청년도약계좌' 발생 이자·배당소득 비과세

 

 

 

 

 

정부는 청년도약계좌에서 발생하는 이자·배당소득 비과세 소득 요건으로 총급여액 7천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 천 300만 원 이하를 들었다.

청년도약계좌는 청년의 중장기 자산 형성을 돕기 위해 마련된 상품이다.

청년이 5년 만기로 매달 40만~70만원씩을 입금하면 정부가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최대 6%를 매칭지원금으로 입금해 주고 이자·배당소득도 과세하지 않는다.

다만 정부의 매칭 지원금과 이자·배당소득 비과세를 받기 위한 소득 기준선에는 다소 차이가 있다.

우선 입금액에 상응해 정부의 매칭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계층은 소득 6천만원 이하이면서 가구소득이 중위 180% 이하 인 청년이다.

 

 

 '청년도약계좌' 이자·배당소득 비과제 기준선

 

 

 

 

 

이자·배당소득에 대한 비과세 기준선은 총급여 7천500만 원 이하 또는 종합소득금액 6천300만 원 이하다.

즉 소득이 6천만원6천만 원 이하이면서 가구소득 중위 180%인 사람은 정부의 매칭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모두 받고, 6천만 원 초 과 7천500만 원인 사람은 정부의 매칭 없이 비과세 혜택만 가능하다.

비과세 납입한도는 연 840만원이다.

다만 의무가입 기간 내 계좌를 인출·해지할 경우 세금 감면액을 추징한다. 가입자의 사망이나 해외이주, 천재지변, 퇴직, 질 병, 생애최초 주택 구입 등 사유가 있을 경우 예외로 인정한다.

정부는 청년도약계좌 상품을 오는 6월께 출시할 예정이다.

상품 세부 사항은 추후 확정할 계획이다.

 

 

2023.01.06 -  2023년 바뀌는 정부 정책 정보 총 정리

 

2023년 바뀌는 정부 정책 정보 총 정리

오는 6월 28일부터 대한민국 국민의 법적·사회적 나이가 ‘만 나이’로 통일된다. 올해 최저임금은 시간급 9620원으로 5% 올 라 ‘시급 1만 원’ 시대를 눈앞에 두게 됐다. 주 40시간 근로 기준 월

njobbloger.tistory.com

2023.01.01 - 2023년 새해 달라지는 행정제도 정보

 

2023년 새해 달라지는 행정제도 정보

2023년 새해를 맞아 고향사랑기부제가 시행되고, 주민등록증을 신규 받을 때 전국 모든 읍·면·동 주민센터에서 발급·수령 이 가능해지며, 주민투표제도의 투표 연령도 19세에서 18세로 낮아진다

njobbloger.tistory.com

 

 

 

 

자료출처 : https://n.news.naver.com/article/001/0013723213?ntype=RANKING